sockjs
![[크롬 익스텐션: 05] StompJs & SockJs, 디자인 및 구현 -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cIUzN%2FbtrFybhjdk3%2FWTOLI3XwGCji2uQmdSPYVK%2Fimg.jpg)
[크롬 익스텐션: 05] StompJs & SockJs, 디자인 및 구현 - 1
저번 포스트에 이어, 생각보다 많은 부분들이 개발되었다. 우선, 서버가 개발되어 StompJs 와 SockJs를 이용하여 소켓 통신 테스트를 해볼 수 있었다. 우선 진행하기 앞서, sockjs를 지난 포스트에서 스프링과 소켓 통신을 자주 사용한다 하였는데, STOMP는 무엇인가?? STOMP is the Simple (or Streaming)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 즉, STOMP는 텍스트 기반의 메세징 프로토콜로, STOMP 브로커를 사용하는 다양한 언어와 플랫폼, 브로커들 사이의 메세지 전송을 간편하게 한다. 제작한 서버는 STOMP의 브로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Spring 서버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측도, StompJs를 활용하면 훨씬 수월하게 연결 할 것이다...
![[크롬 익스텐션: 03] sockjs-client를 이용한 소켓 통신](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qycP2%2FbtrDYKyYkez%2FhpkAkU5svrjgf40L10XC31%2Fimg.jpg)
[크롬 익스텐션: 03] sockjs-client를 이용한 소켓 통신
크롬 익스텐션을 다루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였던 메인 기능, 소켓 통신을 이용한 채팅 구현...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최소한의 UI를 완성하고, 개발에 들어갔다! 아래는 저번 포스트에 이어 개발 된 UI의 모습...! 우선 왼쪽의 화면은 제외될 수 도 있다... 2가지의 경우에 따라 다르게 될텐데 1. URL을 직접 유저에게 입력받는다. 해당 서버로 연결한다. 2. 탭 혹은 페이지에 입력된 URL을 바탕으로 서버에 연결을 시도한다. 2가지의 경우 중 어떠한 경우가 더 좋을지, 기술적으로 가능할지를 아직 고려하고있다... 아무래도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써의 가치가 빛나려면 2번이 맞고, 이렇게 될 경우 어플은 독립적으로 알맞은 세팅을 이룬 서버와는 자동 연결되게 한다. 하지만 그렇게되면, 다..